건협 동부지부 "조기 발견이 중요한 ‘유방암’, 건강검진으로 예방 필요"
40대 가정주부 A씨는 건강검진을 받던 중 유방암을 진단받았다. 멍울이 잡히는듯한 느낌이 들어 받게 된 건강검진에서 혹을 관찰하게 되었다.
여성에게 나타나는 암 중 2번째로 많이 발생하는 유방암은 유방조직 안에 악성 세포들이 생기는 암을 말한다. 유방 조직 어디에서든 발생할 수 있어 다른 암에 비해 종류가 다양하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17년 대비 2021년 35.4% 증가하는 등 매년 유방암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다.
유방암의 경우, 초기 단계에서는 특별한 증상이 없다. 그러나 병이 어느 정도 진행되었을 때는 유방에 멍울이 만져지며, 심한 경우 유두에서 피가 섞인 분비물이 나오기도 한다. 병이 진행되면 겨드랑이나 목의 림프절에서도 덩어리가 만져질 수 있다.
유방암은 자가진단 및 유방촬영이나 초음파검사와 같은 방사선 검사를 통해 진단이 가능하다. 매월 생리가 끝나고 2~7일 후 거울을 보면서 육안으로 평소와의 차이를 비교하고, 서거나 앉아서 부드럽게 촉진하여 비정상적으로 느껴지는 부분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국가건강검진의 경우, 40세 이상의 여성에게 2년마다 유방촬영을 통해 진단한다. 유방촬영의 경우 가장 기본적인 검사로 X-선을 이용하여 촬영하는 검사이다. 유방을 두 개의 판 사이에 압박하여 촬영하는 방법으로 미세한 암을 진단할 수 있다. 다만 임신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유방초음파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좋다.
유방초음파검사는 고해상도 초음파기기를 이용하여 유방의 질환을 진단한다. 유방촬영이나 촉진에서 발견된 병변을 검사하기 위해 이용되며, 고밀도(치밀)유방을 보일 때에는 추가로 시행하여 암 발견율을 높이게 돕는다.
보통 유방암의 발생 위험 요인은 ▶이른 초경, ▶늦은 폐경, ▶출산 경험이 없거나 고령 임신 ▶방사선 과다 노출, ▶비만, ▶음주, ▶호르몬대체요법, ▶피임약, ▶6개월 이하의 모유수유 ▶가족력 등으로 알려져 있다.
유방암은 조기에 발견하면 치료가 잘 되는 암으로 2021년 중앙암등록본부 자료에 의하면 5년 생존률을 93.6%로 보고 있다.
평소 금연과 절주, 하루 30분 이상 땀이 날이 날 정도의 운동 등 생활 습관을 개선하여 관리하며,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해 건강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제공:한국건강관리협회 서울동부지부/정리:고수진 기자>
'동대문 포스트 > 종이신문 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경태 국회의원 “수강생이 외면하는 EBSlang, 고품질 외국어 콘텐츠 및 저가 서비스 제공 필요” (0) | 2022.10.20 |
---|---|
안규백 국회의원 “군인의 기본인 체력, 체력 없이 강한 국방력 있을 수 없어” (0) | 2022.10.20 |
제32회 청룡문화제 10월 29일 용두근린공원서 개최 (0) | 2022.10.20 |
2022 전국새마을지도자대회, 서울종합운동장 1만여명 참석 역대급 행사 (0) | 2022.10.19 |
민주평통 동대문구협의회, 가족 걷기대회 및 한마음음악회 개최 (0) | 2022.10.19 |